입금계좌
113-2002-0270-04
예금주 : 녹색환경기술학원
고객센터
051.531.7175
평 일 09:00 ~ 18:00
토요일 09:00 ~ 13:00
점 심 12:00 ~ 13:00
공휴일/일요일 휴무
도시농업지도사
> 과정안내
★도시농업 전문 인력양성기관 개요
도시에서 푸른채소와 과일을 키우면서 농사활동을 통해 먹고,보고,즐기는 인간 중심의 기본 생산적 여가활동을 통해 건강한 삶을 자연스럽게 얻을수 있으며, 농업활동과 제대로된 체험을 통해 먹을거리를 제공하며, 삶의 질 향샹을 도모하고 이를 제대로 홍보하고 관리 할수 있도록 교육을 통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지구 환경에 이바지 할수 있기에 국가에서 도시농업의 육성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법' 이라 한다)에 제8조 제1항에 따라 전국에서 최초로 지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은 도시농업전문기관이며 도시농업 전문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교육에 힘쓴다.
도시농업은 공익적인 면에서 가치도 크다. 도시의 텃밭이나 건물옥상의 농원, 자연학습장은 자체가 삭막한 도시 속 녹지구역 이다.
나비들이 날아오고 풀 씨앗들이 떨어져 나면서 도시의 녹색생태계를 건강하게 연결하는 거점 역할을 해 주며, 미적 경관을 좋게 하여 도시의 가치를 향상시킨다.
식물의 호흡을 통해 산소와 수분을 배출하고 다양한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도시를 맑게 해 준다.
특히 건물 옥상과 외벽에 심어진 식물들은 여름철 열대야 경감, 건물의 냉난방비 경감 등 에너지 절감에도 크게 기여한다.
도시농업은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도구로써 고령 사회의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능한다.
★왜 도시농업이 늘어나나?
급격한 도시화는 도시의 생활환경 악화는 물론 도시민들의 정서적인 여유마저 빼앗아 갔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과 빠른 변화에 지친 도시인들이 건강과 여유를 찾고 싶어하며 안전한 먹을거리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내 손으로 가꾼 농산물을 우리 가족에게 공급하고 싶은 욕구도 높아졌고, 베란다, 옥상 등 우리가 사는 생활공간을 쾌적하게 만들기 위해 베란다 채소, 실내정원 등 인간 중심의 생산적인 여가활동인 도시농업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농업이 여가활동으로 자리 잡으면서 농업(agriculture)과 여흥(entertainment)을 결합한 애그리테인먼트(agritainment)라는 신조어도 생기고 있다.
여기에 농사활동을 통해 도시 생태계의 보전과 사회 공동체 회복에도 큰 효과가 인정되면서 도시농업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이다.
도시농업의 확산에는 몇 가지 과학적 이유도 있다.
미국 미시간대학교의 스티브 카플란(Steven Kaplan)교수는 자연이 인간정신에 미치는 이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은 자연을 체험하면 기력이 회복되며, 특히 식물의 녹색은 휴식과 안정감을 주는 심리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미국의 대기환경 전문가인 울버튼(B.C. Wolverton) 박사는 사람이 식물 근처에 있거나 식물을 돌보면 편안함을 느낀다고 하였으며, 우리나라 정신과 전문의인 이시형 박사도 숲 치료, 가드닝을 통해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 분비가 촉진된다고 하였다.
★도시농업의 매력과 가치는?
도시농업의 매력은 농사에 참여하는 개인에게 주는 것이 많다.
농사는 농작물을 지속적으로 돌보는 작업이므로 규칙적인 운동으로 항상 건강을 유지해 준다.
내 손으로 기른 상추를 따서 가족이나 동료들이 모여 삼겹살 파티를 한다는 것은 도시민들의 로망이다.
자녀들이 농사활동에 같이 참여하면서 매일 먹는 농산물이 어떤 힘겨운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지 알게 되어 농업을 이해하게 된다.
무엇보다 살아 있는 생명체와의 교감을 통해 생명에 대한 존중감이 커지게 된다.
집안에 채소가 있거나 실내정원이 있으면 생활공간의 공기청정기 역할도 해준다
★수행직무 및 진로 전망.
각 지자체에서 도시농업 지원 활성화로 인해 옥상텃밭 , 상자텃밭 , 학교텃밭 , 도심형 텃밭 등 그외에 대대적으로 국비지원사업을 함으로써 인원 충원이 예상된다.
이에 앞으로 도시농업 교육과 관리자가 필요할수 밖에 없기에 기간제근로자및 무기 계약직 공무원 진출이 쉽게 이루어 질수 있으며 원활한 수요에 맟춰 인력공급이 많을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도시농업 문화 확산이 유치원. 초,중,고 ,문화센터, 협회등 많은 도시농업 교육강사들을 찿음으로써 필히 앞을 보고 준비한자 만이 제대로 활동 할것이다.
★수업시간표★
※ 수업일정은 학원일정에 맞춰 변동될수 있습니다.
과정명 |
개강일 |
수업요일 |
수강료 |
수업시간 |
도시농업지도사 |
2019.04.06 ~06.16 (20일, 100시간) |
토,일 |
699,200원 |
10:00~16:00(5시간) (5/4 휴강) - 수업시간은 변경될수 있습니다 - 근로자 80~100% 국비지원
|